< 헤드라인-요약과 압축 >
: 유럽發 탄소중립 압박에…친환경 LNG로 수요 한꺼번에 몰려
원유·석탄이어 LNG…들불처럼 번지는 에너지대란
탄소배출권 가격 1년새 2배로
석탄에서 LNG로 급격한 전환
LNG강국 러시아는 내심 즐겨
푸틴 "공급 확대" 발언에
치솟던 가격 안정세 찾기도
한국 발전량 LNG 비중 29%
수급 불안 지속땐 전력 비상
기사링크 : 유럽發 탄소중립 압박에…친환경 LNG로 수요 한꺼번에 몰려
날짜 : 2021.10.07
< 본문(분문 내용 복사) >
◆ 도미노 에너지 대란 ◆
전 세계 에너지 가격 상승세가 원유와 석탄에 이어 천연가스로 옮겨붙으면서 한국 산업계에 어두운 그림자를 드리우고 있다.
유럽과 중국, 인도 등 거대 경제권의 전력난이 현실화된 데다 에너지 수요가 급증하는 동절기를 앞두고 있어 고삐 풀린 에너지값 상승세가 앞으로 더 악화할 수 있다는 비관적 전망이 나온다. 에너지 시장 불안이 코로나19 이후 경기 회복에 걸림돌로 작용할 수 있다는 염려도 동시에 커지고 있다.
로이터통신·블룸버그 등 외신들은 6일(현지시간) 한국과 일본 구매자들의 비정상적인 액화천연가스(LNG) 가격 고공 행진을 주목하며 유럽발 에너지 위기가 아시아로 확산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아시아 주요 LNG 가격 지표인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글로벌 플래츠'의 데이터를 보면 이날 한국·일본향 LNG 가격(JKM·Japan-Korea Marker)이 전날 대비 42% 급등해 1MMBtu(열량 단위)당 56.33달러를 찍었다. 이 지표가 작성된 2009년 이후 12년 만에 가장 큰 상승폭이다.
올해 1월 아시아 지역 동절기 수요 증가가 발생했을 당시에도 21달러였던 것과 비교해 2.7배 가까이 폭등한 수준이다. 시장 전문가들은 이날 JKM 현물 가격의 비정상적 상승 기저에는 유럽의 공격적 탄소 감축 목표 계획부터 전력난에 봉착한 중국의 패닉바잉(공포에 기반한 공황적 구매) 등 다양한 요인이 작용했다고 분석하고 있다.
특히 세계 배출권 시장의 중심인 유럽에서 탄소배출권 가격은 1년 새 2배 넘게 급등하며 기업들의 공포를 키우고 있다. 유럽연합(EU) 집행위원회가 2030년까지 탄소 배출량 감축 목표를 1990년 대비 종전 40%에서 55%로 크게 강화하면서 화석연료 사용 기업들의 탄소중립 '스트레스'를 키우고 있기 때문이다.
배출권 시장의 패닉이 석탄에서 가스로의 급격한 전환을 촉발하면서 LNG 가격 급등세가 벌어지고 있다는 분석이다. KTB투자증권은 최근 에너지 시장 분석 보고서에서 "탄소배출권 가격 상승으로 석탄에서 가스(coal to gas)로 빠른 전환이 진행되고 있다"며 "현재 가스 가격 상승은 탈(脫)탄소화의 '비용청구서' "라고 분석했다.
천정부지로 치솟은 가스 가격 탓에 유럽 내 다수 화학사들은 생산비용 증가 등 극심한 고통을 겪고 있다. 파이낸셜타임스(FT)에 따르면 독일 최대 암모니아 생산업체인 SKW 스틱스토프베르케 피에스테리츠의 페트르 친그르 최고경영자(CEO)는 "지금 천연가스 가격 수준에서 생산을 계속하는 것은 더 이상 경제적 의미가 없다"고 밝혔다. EU 회원국 사이에서는 천연가스 가격을 진정시키기 위한 대응을 두고 내부 분열까지 빚어지는 양상이다. 이날 슬로베니아에서 열린 EU 정상회의에서 일부 국가 정상들은 EU가 추진 중인 친환경 정책이 탄소배출권 시장과 천연가스 가격 상승을 유발했다고 비난한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아시아 LNG 현물가격 급등과 달리 이날 유럽 천연가스 가격 기준인 네덜란드 TTF 거래소의 천연가스 선물 가격은 전일 대비 9.6% 하락한 104.9유로에 거래를 마쳤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천연가스 선물 가격이 이날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시장 안정화 발언 때문이라고 평가했다.
푸틴 대통령은 이날 "러시아는 세계 에너지 시장 안정을 위해 노력할 준비가 돼 있다"고 밝혔다. 그는 "천연가스를 포함해 올해 유럽에 보내는 에너지 자원 규모가 역대 최대를 기록할 수 있다"고도 강조했다. 러시아는 최근 유럽의 천연가스 재고 부족 사태를 야기한 주범 중 하나로 꼽혀왔다. 러시아 국영 가스회사 가스프롬의 유럽 수출 규모가 올해 초 역대 최고 수준에 근접했으나 겨울을 앞두고 러시아 내 수요가 증가하자 지난달부터 유럽 수출량을 줄이기 시작했다는 의혹이다.
한국전력의 전력통계월보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LNG 발전량은 총 14만5966GWh(기가와트시)로 전체 발전량의 26.4%를 차지했다. 여름철 전력 사용량이 급증했던 올해 7월 기준으로는 발전량 1만5644GWh를 기록해 전체 28.9%를 책임졌다. 세계적인 LNG 확보 경쟁이 장기화하면서 수급 문제가 발생할 경우 전력 공급에도 비상이 걸릴 수 있다.
정부는 올해 6월 도시가스사업법 시행령 개정을 추진하면서 가스공사의 의무 비축량을 기존 7일분에서 9일분으로 확대하기로 했다. 하지만 90일 이상 사용분을 비축하고 있는 석유와 비교하면 여전히 저조한 수준이라 비상 상황에 대비한 추가 수급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 본문의 근거-객관적인 수치 >
- 아시아 주요 LNG 가격 지표인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글로벌 플래츠'의 데이터를 보면 이날 한국·일본향 LNG 가격(JKM·Japan-Korea Marker)이 전날 대비 42% 급등해 1MMBtu(열량 단위)당 56.33달러를 찍었음. 이 지표가 작성된 2009년 이후 12년 만에 가장 큰 상승폭임.
- 올해 1월 아시아 지역 동절기 수요 증가가 발생했을 당시에도 21달러였던 것과 비교해 2.7배 가까이 폭등한 수준
- 세계 배출권 시장의 중심인 유럽에서 탄소배출권 가격은 1년 새 2배 넘게 급등
- 유럽연합(EU) 집행위원회가 2030년까지 탄소 배출량 감축 목표를 1990년 대비 종전 40%에서 55%로 크게 강화
- 아시아 LNG 현물가격 급등과 달리 이날 유럽 천연가스 가격 기준인 네덜란드 TTF 거래소의 천연가스 선물 가격은 전일 대비 9.6% 하락한 104.9유로에 거래를 마침
- 한국전력의 전력통계월보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LNG 발전량은 총 14만5966GWh(기가와트시)로 전체 발전량의 26.4%를 차지, 여름철 전력 사용량이 급증했던 올해 7월 기준으로는 발전량 1만5644GWh를 기록해 전체 28.9%
- 올해 6월 도시가스사업법 시행령 개정을 추진하면서 가스공사의 의무 비축량을 기존 7일분에서 9일분으로 확대
- 90일 이상 사용분을 비축하고 있는 석유와 비교하면 여전히 저조한 수준이라 비상 상황에 대비한 추가 수급 대책이 필요
< 추가조사할 내용 또는 결과 > : 기사의 근거를 통해 바뀐 수치는 무엇인가?
1. 가스 요금 & 한국가스공사
- 에너지 주무부처인 산업통상자원부와 한국가스공사는 기획재정부의 동결 방침에도 11월 가스요금 인상을 재차 요구할 방침
- 도시가스 도매요금은 기본적으로 연료비 연동제가 적용되며 LNG 등 원료 가격의 등락에 따라 두 달에 한 번씩 홀수달마다 조정함.
- 정부에서 도시가스 요금을 지난해 7월 주택용 11.2%, 일반용 12.7%씩 인하한 이후 15개월째 동결함
- 한국가스공사에 따르면 공사가 수입한 LNG 대금 중 요금으로 회수하지 못하는 미수금이 올해 기준 1조 5000억원에 달할 것으로 예상됨
- 가스공사 관계자는 "미수금 1조 5000억원은 원래 LNG를 다시 구매하고 공급하는 운전자금으로 활용돼야 할 돈"이라며 "공사 입장에서는 차입을 해서 LNG를 구매해야 해 결국 조달비용이 증가하고 부채가 늘어날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말함
2. LNG 전환 계획
- 온실가스 감축목표(2030년 BAU 대비 47백만톤 감축) 달성을 위해 신규 석탄발전소 건설을 원칙적으로 금지하는 한편, 총 3,345MW 규모의 노후 석탄발전소 10기를 폐지하기로 결정
- 석탄발전소 4기에 대한 LNG 전환 계획을 확정
- 2019년 9월 7GW 규모의 석탄발전소 14기에 대한 LNG 전환 계획을 정부에 추가 제출
3. 도시가스사업법 시행령(☞ 법령)
- 안정적인 천연가스 수급관리를 위해 천연가스 비축의무량 산정방식을 개선하는 일부 개정안이 2021.08.24 국무회의에서 의결됨
- (기대효과) 천연가스 비축제도의 실효성 제고로 이상한파에 따른 급격한 수요증가, 수입차질로 인한 예상치 못한 공급부족 등 천연가스 수급위기 상황에 대한 대응능력 강화
< 요약 및 의견 >
- 탈탄소화로 인한 천연가스 수요 증가로 LNG 가격 급증 등 에너지 가격 상승세 현상이 생겼다. 이러한 에너지 대란 현상으로 수급 문제로 인핸 전력 공급에 비상이 걸릴 수 있으며 가스요금 인상이 필요한 상황이다.
< 적용할점-현직자에게 할 질문 >
1.
< 연관기사 링크 >
매일경제-(2021.10.07) 세계 LNG 확보 대란, 한국 덮친다
매일경제-(2021.10.07) 전기료 올린지 얼마됐다고 가스요금마저 오르나…들불처럼 번지는 에너지대란
< 출처 >
한국전력공사 홈페이지-2020 지속가능경영 보고서
< 함께 참고하면 좋을 내용 >
(경제신문스크랩94) "전기료 더는 못참아"…천연가스 급등에 난리난 프랑스 스페인
< 헤드라인-요약과 압축 > : "전기료 더는 못참아"…천연가스 급등에 난리난 프랑스 스페인 천연가스 급등에 전기료 뛰자 "시민·기업 더 이상은 못참아" EU에 에너지시장 개입 촉구 북유럽 "자체
celebrity23.tistory.com
'취업 준비 > 경제신문스크랩'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제신문스크랩97) 발전사 신재생 구매비용 16조 늘어난다…전기료 인상 불가피 (0) | 2021.10.12 |
---|---|
(경제신문스크랩96) 서울 면적 73% 태양광 더 깔겠다는 정부 (0) | 2021.10.11 |
(경제신문스크랩94) "전기료 더는 못참아"…천연가스 급등에 난리난 프랑스 스페인 (0) | 2021.10.06 |
(경제신문스크랩93) "美, 원전 의존도 안 줄여…청정에너지로 인정" (0) | 2021.10.05 |
(경제신문스크랩92) 가스요금 인상에 수소 투자까지…가스公, 실적·성장성 모두 '호평' (0) | 2021.09.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