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헤드라인-요약과 압축 >
: 태양광 생산 단가 떨어져도 보조금 퍼주며 가격 보전
장기 고정가격이 더 비싸
전기료 인상 압박 요인으로
기사링크 : 태양광 생산 단가 떨어져도 보조금 퍼주며 가격 보전
날짜 : 2021.07.21
< 본문(분문 내용 복사) >
태양광 사업자가 급증하면서 태양광 발전소에서 생산된 전력의 시장가는 떨어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보조금을 통해 높은 값으로 사주고 있다. 이 때문에 소비자들의 전기료 부담이 커진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한국에너지공단과 전력거래소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으로 계통한계가격(SMP)에 신재생에너지공급인증서(REC) 거래가를 더한 태양광 생산 전력 현물 가격은 10만2137원이었다. 하지만 20년간 고정된 가격에 태양광 전력을 매입해주는 장기고정(FIT)가격은 14만3682원으로 현물가격 대비 40.6% 비싸다. 2017년 상반기만 해도 FIT보다 15.5% 높았던 현물가격이 2019년 상반기를 기점으로 역전되더니 두 가격 사이의 격차가 갈수록 벌어지고 있다.
FIT와 현물가격을 구성하는 REC는 보조금의 일종이다. 한국전력 산하 6개 발전 자회사는 FIT 계약과 REC 매입을 통해 민간이 생산한 태양광 전력으로 할당된 신재생에너지 발전량을 채운다. 관련 비용은 ㎾h당 5.3원인 기후환경요금으로 분류돼 전기요금 고지서에 포함된다.
REC 거래가는 시장 수급에 따라 가격이 결정된다. 문재인 정부 출범 이후 태양광 사업자가 급증하며 2017년 7월 12만7113원에서 3만115원까지 떨어진 이유다. 반면 FIT는 전년 현물가격은 물론 생산 원가까지 감안해 정한다. 정부가 가격 하락폭을 어느 정도 관리할 수 있는 이유다. REC 거래가 급락으로 태양광 사업자들이 어려움을 호소하자 산업통상자원부는 FIT 계약 확대를 해법으로 제시했다. 이에 따라 태양광 시장에서 현물거래가 차지하는 비중은 2018년 50.3%에서 올해 5월 7.5%까지 떨어졌다.
이 같은 현물거래 축소는 태양광 전력 구매 비용을 상승시켜 전기료 인상 압박으로 이어질 수 있다. 발전 단가 하락 등에 따른 비용 절감이 이뤄지지 않는 가운데 의무적으로 구매해야 할 전력은 계속 늘어나는 구조이기 때문이다. 20년에 이르는 FIT 계약 기간도 부담이다.
주한규 서울대 원자핵공학과 교수는 “지나치게 빠른 태양광 발전 확대에 따른 시장 기능 붕괴를 정부가 보조금으로 메우고 있다”며 “관련 부담은 전기료 인상으로 국민에게 청구될 것”이라고 말했다.
< 본문의 근거-객관적인 수치 >
- 한국에너지공단과 전력거래소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으로 계통한계가격(SMP)에 신재생에너지공급인증서(REC) 거래가를 더한 태양광 생산 전력 현물 가격은 10만2137원
- 하지만 20년간 고정된 가격에 태양광 전력을 매입해주는 장기고정(FIT)가격은 14만3682원으로 현물가격 대비 40.6% 비쌈
- 2017년 상반기만 해도 FIT보다 15.5% 높았던 현물가격이 2019년 상반기를 기점으로 역전되더니 두 가격 사이의 격차가 갈수록 벌어짐
- ㎾h당 5.3원인 기후환경요금으로 분류돼 전기요금 고지서에 포함
- REC 거래가는 태양광 사업자가 급증하며 2017년 7월 12만7113원에서 3만115원까지 떨어짐
- 태양광 시장에서 현물거래가 차지하는 비중은 2018년 50.3%에서 올해 5월 7.5%까지 떨어짐
< 추가조사할 내용 또는 결과 > : 기사의 근거를 통해 바뀐 수치는 무엇인가?
1. REC 거래시장
- REC 거래는 직접적으로 수익을 얻을 수 있는 최종단계로 거래를 나누는 기준은 공급의무자와 의무공급량에 따라 달라짐
- REC 거래 시장은 현재 현물시장과 계약시장으로 크게 2가지로 구분하며 이외에도 정부의 중/소규모 태양광지원을 위한 재생에너지 3020 정책의 핵심제도인 한국형 FIT 제도가 있음
- REC 현물시장은 경매 형식으로 수요와 공급을 통해 매매가 실시간으로 체결되는 시장을 말함. 이는 매도주문과 매수주문이 동시에 일어나는 양방향 입찰의 형태임
- REC 계약시장은 보통 장기고정계약시장이라고 하며, 태양광발전 판매사업자가 공급한 전력량에 대한 REC를 전량 거래하는 시장을 말함. 계약 기간 동안에는 계약 단가가 고정적으로 적용되어 계약이 체결됨. 즉, 계약시장은 현물시장과는 다르게 계약한 공급 의무자와 계약 내용에 따라 독점 계약을 맺음.
- 한국형 FIT 제도는 REC 가격 하락에 의한 대책으로 계약시장의 한 종류로 볼 수 있음.
< 적용할점-현직자에게 할 질문 >
1.
< 연관기사 링크 >
< 출처 >
한국미래에너지 공식블로그-태양광QNA-태양광 REC 거래시장의 유형과 한국형 FIT
< 함께 참고하면 좋을 내용 >
'취업 준비 > 경제신문스크랩'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제신문스크랩68) 美·유럽 태양광 늘릴수록…中 석탄의존 가속 '친환경의 역설' (0) | 2021.08.02 |
---|---|
(경제신문스크랩67) [CEO] 친환경 천연가스로 수소경제시대 앞당길것 (0) | 2021.07.26 |
(경제신문스크랩65) 전력수급 자신하던 정부…"공공기관, 에어컨 사용자제" 권고 (0) | 2021.07.20 |
(경제신문스크랩64) 멀쩡한 월성1호기 경제성 조작해 폐쇄…새 원전 부지마저 백지화 (0) | 2021.07.19 |
(경제신문스크랩63) 본업 잊고 탈원전 나선 한수원…신재생 보조금 年 3천억 썼다 (0) | 2021.07.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