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 준비/경제신문스크랩

(경제신문스크랩38) "수소 산유국 경쟁, 한국이 주도한다"

celebrity- 2021. 6. 10. 10:14

< 헤드라인-요약과 압축 >

: "수소 산유국 경쟁, 한국이 주도한다"

 

국내 최대 IR축제
코리아 인베스트먼트 페스티벌 2021

두산·포스코·씨에스윈드 등
그린·디지털 선도기업 총출동

피델리티 등 글로벌 투자기업
펀드매니저 100여명도 참가

 

기사링크 : "수소 산유국 경쟁, 한국이 주도한다"

날짜 : 2021.06.09.


< 본문(분문 내용 복사) >

 

< “어떤 기업에 투자할까” > '코리아 인베스트먼트 페스티벌( KIF )   2021' 이 9일 서울 장충동 신라호텔에서 개막했다.   10 일까지 열리는 이 행사는 유튜브를 통해 생중계된다. 국내 기관투자가는 물론 블랙록, 템플턴, 피델리티 등 글로벌 투자회사   70 곳 소속   100 여 명의 펀드매니저도 온라인으로 행사에 참가했다. 참석자들이 행사장에서 노재석   SK 아이이테크놀로지 사장의 주제발표를 듣고 있다. /신경훈 기자

유수경 두산퓨얼셀 대표가 “석유 천연가스 등 화석연료는 매장 자원이지만 수소는 기술 자원”이라며 “우리 기업들이 갖고 있는 기술력으로 한국도 산유국 지위를 확보할 수 있다”고 말했다.

유 대표는 9일 서울 장충동 신라호텔에서 개막한 ‘코리아 인베스트먼트 페스티벌(KIF) 2021’에 발표자로 나와 “세계 각국이 수소를 미래 에너지 자원으로 육성하기 위해 달려들고 있지만, 한국처럼 수소 관련 법을 제정하고 구체적으로 이행하는 나라는 아직 없다”며 “수소 분야에서 한국이 ‘퍼스트 무버’로 앞서가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물에서 수소를 분리하는 수전해 분야로 사업 영역을 확장하고 수소 대량 생산에 나설 것”이라고 밝혔다.

유병옥 포스코 산업가스수소사업부장(부사장)도 “국내 최대 수소 생산 체제를 갖추고 2030년 50만t, 2040년 200만t, 2050년 500만t의 수소를 생산하겠다”고 밝혔다. 포스코는 철강 생산과정에서 발생하는 수소를 연료로 재생산하는 공정을 추진 중이어서 업계의 관심을 모으고 있다. 유 부사장은 “우선 제철공정 중 발생하는 수소를 활용해 2025년까지 연 7만t 규모의 생산설비를 구축할 것”이라고 했다. 전기차 관련 소재를 생산하는 SK아이이테크놀로지의 노재석 사장은 “배터리 가격 하락으로 2023년부터 전기차가 내연기관차보다 가성비가 더 좋아질 것”이라며 “2차전지 핵심 소재인 분리막 생산 능력을 2024년까지 올해의 두 배 이상으로 늘리겠다”고 말했다.

국내 최대 기업설명회(IR) 축제인 KIF 2021은 ‘그린&디지털로의 전환’을 주제로 10일까지 열린다. 모든 행사는 유튜브로 생중계된다. 행사 첫날 유튜브 누적 시청자는 11만 명에 육박했다. 국내 기관투자가뿐 아니라 블랙록, 피델리티 등 글로벌 투자기업 펀드매니저 100여 명도 참여했다. 첫날 이들은 한국의 그린에너지산업을 이끄는 포스코 두산 SK아이이테크놀로지 씨에스윈드 등의 성장 스토리를 들었다.


< 본문의 근거-객관적인 수치 >

  • 포스코 산업가스수소사업부장(부사장)도 “국내 최대 수소 생산 체제를 갖추고 2030 50만t, 2040 200만t, 2050 500만t의 수소를 생산하겠다”고 밝힘
  • 또한, 유 부사장은 “우선 제철공정 중 발생하는 수소를 활용해 2025년까지 연 7만t 규모의 생산설비를 구축할 것”이라고 함
  • SK아이이테크놀로지의 노재석 사장은 “배터리 가격 하락으로 2023년부터 전기차가 내연기관차보다 가성비가 더 좋아질 것”이라며 “2차전지 핵심 소재인 분리막 생산 능력을 2024년까지 올해의 두 배 이상으로 늘리겠다”고 함

< 추가조사할 내용 또는 결과 > : 기사의 근거를 통해 바뀐 수치는 무엇인가?

   1. 그린수소

  • 수소는 우주상 70% 이상 존재하는 물질
  • 이산화탄소의 배출이 없는 친환경 연료임
  • 장점) 타 연료에 비해 효율이 높고, 장기 보관이 가능
  • 대부분의 수소는 화석연료나 물 등의 화학 성분으로 존재하기에 이로부터 추출해야 하는데 그린수소는 온실가스가 배출되지 않는 물 등의 자원에서 추출한 수소를 의미함

 

   2. 수전해

  • 수전해는 전기화학반응을 이용해 수소와 산소를 생산하는 기술
  • 재생에너지 보급이 확대되면서 전력계통의 피크 부하와 주파스 조정을 위해 세계적으로 기술 개발이 활발히 진행됨

< 적용할점-현직자에게 할 질문 >

   1. 


< 연관기사 링크 >

 

< 출처 >

국가과학기술연구회 블로그-연구원 리포트(바닷물로 그린수소를 만든다! 해수 수전해 기술 개발)

국가과학기술연구회 블로그-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전기화학반응으로 수소·산소생산 '수전해' 안전성 향상 기술 개발)

 

< 함께 참고하면 좋을 내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