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신문스크랩10) 한국가스공사, 에너지 산업 선도로 100년 기업 향해 도전
< 헤드라인-요약과 압축 >
: 한국가스공사, 에너지 산업 선도로 100년 기업 향해 도전
기사링크 : 한국가스공사, 에너지 산업 선도로 100년 기업 향해 도전
날짜 : 2021.02.26
< 본문(분문 내용 복사) >
◆ 존경받는 기업 ◆
1983년에 설립된 한국가스공사는 가스산업 불모지인 우리나라에 천연가스 공급 인프라스트럭처를 성공적으로 구축했다. 가스공사는 안정적인 천연가스 공급을 위해 평택, 인천, 통영, 삼척, 제주 등 생산기지 5곳에 총 1216만㎘ 용량 저장탱크 77기를 보유하고 있으며, 전국 각지에서 4945㎞짜리 배관망과 공급관리소 413개소를 운영하고 있다.
이에 머물지 않고 가스공사는 우리나라 에너지 산업을 선도하고 미래 혁신 성장을 추진하기 위해 다양한 미래 신사업을 펼치고 있다. 먼저 수소경제 시대에 대비해 발 빠르게 움직이고 있다. 가스공사는 전국으로 연결된 가스 배관과 전국 거점에 위치한 공급관리소를 보유하고 있어 이를 활용한 수소 생산과 운송이 가능하다.
가스공사는 수소경제를 선도하기 위해 일찌감치 관련 법령을 손봤다. 공사의 사업 범위에 수소 사업을 포함시키는 법률 개정안이 통과됐고 정관 개정까지 끝냈다. 이를 통해 수소산업 육성의 주체로서 가스공사의 역할을 명확히 했고, 2020년 7월 수소경제위원회(위원장 국무총리)에서 수소유통전담기관으로 지정받았으며 지난 5일 수소경제 육성 및 수소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시행과 더불어 수소유통센터 홈페이지를 오픈하고 공식 업무를 시작했다.
한편 가스공사는 천연가스 기반의 선제적이고 경제적 수소 공급 네트워크를 구축하기 위해 공사 최초 거점형 수소생산기지로 광주광역시와 경남 창원시 2곳을 선정해 2022년 수소차 넥쏘 기준으로 연간 3만5000대를 충전할 수 있는 수소생산기지 준공을 목표로 설계 및 발주 등 후속 프로세스를 차질 없이 추진하고 있다.
또한 LNG 벙커링 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지난해 12월 '한국엘엔지벙커링주식회사'를 설립하고 도시가스사업법에 의한 '선박용천연가스사업자' 등록을 마쳤다.
가스공사는 '청년 기업'으로 거듭나고자 환골탈태하고 있다. 채희봉 가스공사 사장은 직원들과 수시로 만나는 광폭 소통으로 수평적 리더십을 보여주며 조직·문화 혁신에 속도를 내고 있다. 이에 가스공사는 입사 5년 차 이하 젊은 직원 중심으로 새로운 혁신을 불러일으킬 조직개편을 단행했다.
가스공사는 중소기업과의 동반성장을 전략과제로 설정하고, 중소기업 기술 개발·공정거래·판로 지원·자금 제공 및 교육훈련 등 다양한 협력 사업 분야에서 적극적으로 동반성장 사업을 펼치고 있다.
< 본문의 근거-객관적인 수치 >
- 한국가스공사는 안정적인 천연가스 공급을 위해 평택, 인천, 통영, 삼척, 제주 등 생산기지 5곳에 총 1216만kl 용량 저장 탱크 77기를 보유하고 있음. 또한 전국 각지에서 4945km짜리 배관망과 공급관리소 413개를 운영함
- 한국가스공사는 2020년 7월 수소경제위원회(위원장 국무총리)에서 수소유통전담기관으로 지정받음.
- 이에 따라 지난 5일 수소경제 육성 및 수소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시행과 더불어 수소유통센터 홈페이지를 오픈하고 공식 업무를 시작함
- 한국가스공사는 공사 최초 거점형 수소생산기지로 광주광역시와 경남 창원시 2곳을 선정하여 2022년 수소차 넥쏘 기준으로 연간 3만5000대를 충전할 수 있는 수소생산기지 준고을 목표로 설계 및 발주 등 후속 프로세스틀 차질 없이 추진하는 중임
- LNG 벙커링 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지난해 12월 '한국엘엔지벙커링주식회사'를 설립하고 도시가스사업법에 의한 '선박용천연가스사업자' 등록을 마침
< 추가조사할 내용 또는 결과 > : 기사의 근거를 통해 바뀐 수치는 무엇인가?
1. 수소유통전담기관의 역할
- 수소유통전담기관은 수소의 수급안정과 적정가격 유지 및 공정한 유통질서 확립을 목적으로 하는 수소의 생산/공급 매개체 역할 및 시장 안정화 주체
- 한국가스공사는 전국 4908km의 천연가스 배관망과 411개의 공급관리소 등 수소 공급·유통에 활용할 수 있는 인프라와 운영 노하우를 갖춘 점을 인정받고 수소 유통 전담기관으로 선정됨.
- 20.07.01일자 수소경제위원회 의결로 한국가스공사가 유통전담 기관으로 지정되어 수급관리, 유통 효율화, 적정가격 유지 및 거래질 확립을 위한 정보 제공, 거래 관리 및 시장 지도 등 역할 수행 체계 확립을 통해 대한민국이 세계 수소산업을 선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
2. 수소 기반으로 한국가스공사가 추진하는 계획
- 한국가스공사는 '탄소 제로화' 열풍에 따라 2019년 4월 '수소사업 추진 로드맵'을 발표함. 이 로드맵에는 대표적인 저탄소 연료로 꼽히는 수소 사업 기반으로 회사의 DNA를 바꾸겠다는 전력이 담김
- 수소 생산 분야에서는 작년 9월 거점형 수소 생산기지 건설에 착공했으며 창원시와 광주광역시에 하나씩 건설됨. 계획에 따라 내년 하반기 완공되면 각 시설에서 하루 4t의 수소가 생산될 예정
- 수소 충전/유통 인프라 확충과 관련해 지난해 3월 13개 수소 관련사가 참여하는 수소충전소 설치/운영 특수목적법인인 '하이넷(Hynet·수소에너지네트워크)'을 설립함. 이를 통해 내년까지 수소충전소 100개를 구축할 계획
- 작년 1월의 경우 경남 김해시에 '제조식 수소충전소'를 짓는 작업에 착수했으며 이는 충전소 자체적으로 수소를 생산할 수 있는 시설임. 올해 8월에 완공 예정임
- 전국 고속도로 휴게소 3곳에서는 LNG와 수소를 동시에 충전할 수 있는 복합충전소를 구축하는 중임
- 한국가스공사는 국토교통부가 추진하는 '수소교통복합기지' 시범사업에도 참여함. 이는 교통 수요가 많은 지역에 대용량 수소 충전시설과 수소 생산시설, 편의시설 등을 함께 설치하는 사업
- 한국가스공사는 환경부가 주관하는 '바이오가스 수소화시설 시범사업'과 연계한 수소 충전소 구축도 준비 중임. 바이오가스 수소화시설 시범사업은 기존 폐기물 처리시설을 에너지 생산시설로 전환하는 것
- 한국가스공사는 올해부터 전국 각지에 '수소유통센터'를 신설해 수급 관리 등 유통 전반에 관여할 예정
- 한국가스공사는 해외 수소 기업과의 협력, 인수합병(M&A) 등을 적극 추진해 그린수소 기술을 확보할 예정이며 이를 위해 올 1월 회사 수소사업본부 내 'M&A부'를 신설함.
3. 수소차 넥쏘
- 수소와 산소의 결합으로 어떠한 오염물질 없이 오직 에너지와 물만을 발생시키고, 달리면서 PM2.5이하의 초미세먼지도 걸러내는 친환경차
- 1회 충전에 609km 주행이 가능하며 100% 수소 충전임
- 연료탱크용량(kg/l)은 Modern(17인치 타이어), Premium(19인치 타이어) 모두 6.33/156.6임
4. LNG 벙커링 사업
- LNG벙커링은 LNG추진선박에 LNG를 저비용, 고효율 그리고 안정적으로 공급하는 기술, 사업 및 관련 설비를 통칭하는 것으로 LNG를 연료로 사용하는 선박과 항상 연계됨
- 한국가스공사는 2023년부터 국내 최초로 LNG 벙커링 전용선을 운용함. 이 사업을 추진하기 위해 설립한 '한국엘엔지벙커링'이 지난 24일 현대중공업과 7천500㎥급 LNG 벙커링 전용선 건조계약을 체결함
- 한국가스공사는 산업통상자원부가 주관하는 'LNG 벙커링 선박 건조 지원사업'에 따라 보조금 총 150억원을 지원받음. 이를 통해 초기 수요 부족에 따른 경제성 문제를 해소, 설비 투자비를 절감해 경쟁력 높은 가격으로 LNG를 공급할 수 있을 것임.
- 향후 LNG 벙커링 사업이 활성화하면 국내 해양 대기환경 개선, LNG 추진선 발주 증가에 따른 국내 조선업 발전에도 크게 기여할 것으로 예상됨
< 적용할점-현직자에게 할 질문 >
1.
< 연관기사 링크 >
한국경제-(2021.02.22)가스공사, 수소기반으로 DNA 교체…친환경 에너지기업 변신
가스신문-(2018.05.08)[기고] LNG벙커링 사업현황과 전망
ZDNet Korea-(2021.02.25)가스공사, 국내 최초로 LNG벙커링 전용선 띄운다
< 출처 >
현대자동차 홈페이지-모델소개 NEXO
< 요약 및 의견 FOR 경제신문스크랩 스터디용 >
의견 내용 예시 :
주제 설명
- 현안
- 제도, 사업의 장점, 단점 등 정리
- 적용 방안